'정보'에 해당되는 글 8건

  1. 2014.04.23 렘수면과 가위눌림
  2. 2012.10.05 피파 공인구 번호
  3. 2012.10.05 되,돼 구분 법
  4. 2012.10.05 기획자를 위한 툴
  5. 2012.10.05 교통사고 합의 요령
  6. 2012.10.05 usb로 비스타 설치하기
  7. 2012.10.05 DLL 다운로드
  8. 2012.10.05 Arttips

렘수면과 가위눌림

정보 2014. 4. 23. 10:59

"가위 눌린다"는 의학적으로 수면마비(sleep paralysis)라고 합니다. 수면마비가 발생하는 경우는 크게 세가지입니다. 첫째는 단독성 수면마비로 가위 눌리는 것만 나타나는 경우고, 둘째는 낮에 매우 졸리는 기면병의 한 증상으로 수면마비가 동반됩니다. 셋째는 밤에 잘 때 다른 수면장애로 인하여 자주 깰 수 있는데 램수면 중에 깨면 가위 눌림을 경험하게 됩니다.




보통 '가위눌림'이란 램수면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정상적으로 램수면 중에는 호흡근육과 눈을 움직이는 안근육을 제외한 인체의 모든 근육의 힘이 빠집니다. 그리고 뇌파에서는 낮은 전위의 파형(졸린 상태와 비슷한)이 관찰되고 눈이 빨리 움직이는 급속 안구 운동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런 램수면중에는 뇌파가 졸린 상태와 비슷하기 때문에 다른 수면의 단계에 비해 쉽게 깨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가위눌림은 램수면중에 신체의 근육은 마비된 상태에서 의식이 깨어난 상태를 말하며 이때에는 정신은 깨어 났지만 아직 몸은 마비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의식은 있지만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가위눌림은 정상인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따라서 가위눌림이 있다고 해서 비정상이라고 할수는 없습니다. 다만 가위눌림은 기면병 같은 수면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잘 동반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위눌림증 외에 다른 증상(예를 들어 주간수면과다증, 탈력발작 등)이 동반된다면 수면장애 클리닉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가위눌림은 주간의 졸림증과 같이 올 수도 있고, 단독으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가위눌림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아래의 규칙을 지키세요.



1. 항상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2. 생활의 스트레스를 줄인다.

3.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 하지만 늦은 저녁이나 밤에는 하지 않는다.

4. 취침과 기상 시간을 항상 일정하게 한다.




잠을 자는 동안에 생리적으로 여러 가지 일들이 일어난다.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현상이 바로 행동장애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정도언:서울대병원수면의학센터소장, 1

 

자다가 소리치고 갑자기 벌떡 일어나 돌아다니며 사람을 다치게 하는 수면장애도있다.  잦은 야근ㆍ스트레스 쌓이면 렘수면행동장애가 종종 발생하는 위험한 REM 억제하는 약물이나 교정치료 효과는 있다.

 

 행동수면장애라는 지식을 모르면 가족들의 걱정은이 만저만이 아니다. 병이라고 보기에는 깨어난 후에증상을 보면  문제가 없는  같고,   보면 아니라고 하기에는 너무 심한 잠버릇이다.

 

낮에 스트레스나 업무과다로 `피곤해서…`라고 생각해서 넘기기에는 가족들에게 공포감을 주는 수위가 도를 넘는다. 그리고 자는 본인도 힘들다.

 

 가끔 인터넷의 질문 가운데 형이나 동생이 꿈을 꾸면서 말을 하거나 욕을 하며 갑자기 벌떡 일어나 앉아 두리번거리다가 다시 누울 때면 몽유병이 아닌가 생각하고 질문을 많이 하는데 이게 바로 렘수면행동장애라는증상이다.

 

이러한 증상을 겪는 것을 보면 걱정  무서움 반으로 등골이 오싹해져 잠을 설치기 쉽다.

 

 증상은 꿈을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REM)수면행동장애` 있으면 본인이나 가족들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기도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

 

잠을 자는 동안 일어나는 각종`수면장애`,  정체를 알아보면.

 

우리들은 하룻밤에 성질이 다른  가지 잠을  90분 단위로 교대로 4-6회 반복한다. 보통 쉽게 육체를 위한 잠인 렘수면기와 뇌를 위한 -렘수면기가 있다.

 

대개 우리가 꿈을 꾸는 단계가 렘수면기이며 보통 잠든80~100  나타난다. 무언가를 보는 것처럼 `눈동자가빠르게 움직인다(Rapid Eye Movement)` 해서 붙인 이름이며 미국 시카코대학의 생리학교수인 크라이트만과 제자 알젠스키가 아기의 잠에서 발견한 것이 1953년도이어서  잠을 발견 후에 잠의비밀이 점차 밝혀졌다.

 

`악몽` 렘수면일  발생되므로 새벽에 많이 나타나고 성인남녀의 50% 경험할 정도로 빈도수가 잦다.

 

 렘수면기에는 쉽게 깨어나고 꿈을 꾼다. 반면 `잠꼬대`수면의 모든 단계에서 나타날  있으며 의미없는신음소리에서부터 중얼거림, 대화나 호령까지 다양하다.

 

악몽과 잠꼬대는 심리적스트레스가 주원인으로 꼽힌다.

 

 자체가 건강을 해치는 것은아니지만 반복되고 심하다면 그만큼 잠의 질도 떨어지며 주위사람들이 스트레스를많이 받는다는 얘기다. 상담치료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수면위생 지키는 것도 도움이 되며 진정제 수면제 등의 약물치료를   있다.

 

흔히 귀신을 보는 꿈을 꾸 것으로 알고 있는 가위눌림 의학적인 명칭은 `수면마비증`이다. 주로 잠들기 시작할 때나 깨려고  또는 `렘수면` 시작단계에서 발생한다.

 

소리를 내거나 움직일  없고, 무거운 괴물체가 가슴에 앉아있는 것처럼 느끼기 때문에 심한 불안과 공포를 느낀다. 하지만 실제로는 잠의 순서가 바뀌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며 누구나 자라면서  번쯤 겪을  있다.

 

 증상은 뇌는 먼저깨어나 이미 각성상태로 돌아왔는데 근육은 아직도 완전히 깨지 않고 마비된 상태로 남아 있어 전혀 움직일  없는 현상이다.

 

수면마비는 수면의 질이 떨어지거나 수면이 부족할 , 그리고 스트레스 등으로 꿈을 꾸는 렘수면상태에서  흔히 발생한다. 스트레스나 수험 공부, 야근 등으로 수면이 불규칙해도 자주 나타난다.

 

 청각적, 시각적 혹은 감각적 환각증상이 동반되기도 하여 공포심을 더해 준다.

 

10대에서 흔하며 대개 남녀의 차이는 있으나15-17세가 정점이며 20 중반 이후에도 드물게 나타난다. 가위눌림이 오랫동안 지속된다면 다른 수면장애질환이나 잘못된 수면습관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수면전문의의 도움이 필요하다.

 

수면마비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이로 인해서`밤에 자는 ` 자체를 두려워하면 반드시 수면전문의에게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하며 인지행동치료와 같은 교정치료나 렘수면억제약물로 치료될  있어 걱정할 필요가 없다.

 

수면 가장 위험한 수면장애는 바로 `행동장애`.

 

꿈꾸는 내용을 행동으로 옮기는 명백한 ``이다. 모든 사람들은 매일  몇  가지의 꿈을 꾼다. 그러나 기억하는 사람들은 밤에  자지못했다는 증거이다.

 

왜냐하면 렘수면에 꾸는 꿈은 다음 렘수면의 깊은 잠에서 지워지기 때문이다. 꿈을 꾸는 렘수면 때는 뇌파가 깨어있고 근육은 풀리는 것이 정상이지만 렘수면행동장애가 있는 사람은 뇌에서 근육을 담당하는 스위치(뇌간의 세로토닌  구조물) 망가져 근육이  풀린다.

 

약물복용이나 퇴행성질환, 외상, 뇌혈관질환 의해서도 발생한다. 달아나는 꿈을 꾸다가 벽에부딪혀 코뼈가부러지기도하고, 싸우는  때문에 부인을 때려 부상을 입히기도 한다.

 

실제로 서울대학병원에서 렘수면 행동장애치료를 받았던  고등학생은 번지점프하는 꿈을 실행에 옮겨 아파트에서 떨어져 부상을 입기도 했다. 근육을 이완시키는 약물로 치료하면 사고를 예방할  있다.

 

공포스럽고 때로는 위험한 각종수면장애를 치료하는  단추는 `정확한 진단`이다. 수면장애를 간질로 오인해 경련성 질환치료를 받는 사례도 많다.  보통 수면장애는 두 세 가지가 동시에 나타나는데 정확한 진단없이 치료해 문제가   있다.

 

가령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이 악몽을 없애려고 진정제를 쓰면 무호흡증이 더욱 심해질  있는. 따라서 문진을   필요하다면 `수면다원검사` 받아 다양한 수면패턴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수면다원검사는 하룻밤을 검사실에서 자면서 이뤄진다. 뇌파와안구운동, 심전도, 호흡, 코골이  수면에영향을 주는 모든 현상을 관찰하고측정ㆍ판독하는 검사다.

 

센서를 얼굴과 머리, 다리  신체곳곳에 붙이고 잠들게 된다. 센서를 붙이는 30, 떼는 15 정도걸 린다. 수면을 취하는 8시간동안 의료진이 대기하며 환자의 모습을녹화ㆍ녹음하고 결과는 일주일  나온다.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대학병원의수면장애센터에서 받을  있다. 검사비용은60~80만원선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파 공인구 번호  (0) 2012.10.05
되,돼 구분 법  (0) 2012.10.05
기획자를 위한 툴  (0) 2012.10.05
교통사고 합의 요령  (0) 2012.10.05
usb로 비스타 설치하기  (0) 2012.10.05
Posted by 떡공이
,

피파 공인구 번호

정보 2012. 10. 5. 19:14

FIFA에서 인정한 공인구 번호

 

106 -> Erima
113 -> Jako
116 -> Bremen
119 -> Zeus
129 -> Crane
133 -> Galex
155 -> Hummel
157 -> Macron
158 -> Stanno
159 -> Reebok
170 -> Kappa

202 -> Adidas
205 -> Molten
209 -> Umbro
211 -> Select
216 -> Puma
219 -> Mitre
223 -> Diadora
224 -> Derbystar
228 -> Fila
230 -> Spalding
231 -> Uhlsport
257 -> Voit
259 -> Nike
262 -> Lotto
273 -> Masita
278 -> Mondo
294 -> Kika
298 -> Polaris Star
299 -> Errea

 

 




 아디다스 - 자불라니

 

  나이키 - 어센트


 

고유번호뒤의 A8J, E4K 등은 모델을 뜻한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렘수면과 가위눌림  (0) 2014.04.23
되,돼 구분 법  (0) 2012.10.05
기획자를 위한 툴  (0) 2012.10.05
교통사고 합의 요령  (0) 2012.10.05
usb로 비스타 설치하기  (0) 2012.10.05
Posted by 떡공이
,

되,돼 구분 법

정보 2012. 10. 5. 19:14

알기쉬운 되,돼 구분 법.

  

"그렇게 하면 안돼!"
"그렇게 하면 안되!"

뭐가 맞을까요?

"그렇게 하면 안돼!" 가 맞습니다.

구분법은 간단합니다.

"돼","되" 에 각각 "해"와 "하"를 대입하는 겁니다.

"그렇게 하면 안'해'!"
"그렇게 하면 안'하'!"

후자는 어설픈데 전자는 자연스럽죠?
그렇다면 그 부분에는 "돼"를 넣어야 맞는 겁니다.

"그러면 안'돼'는 건데.."
"그러면 안'되'는 건데.."

여기도 대입해 봅시다.

"그러면 안'해'는 건데.."
"그러면 안'하'는 건데.."

이번엔 전자가 어설픈데 후자는 자연스럽죠?
그렇다면 "되"를 넣어야 합니다.

"됐다!" -> "했다!"
"됬다!" -> "핬다!"

이것도 "돼"가 맞겠죠?

"안된다고!" -> "안한다고!"
"안됀다고!" -> "안핸다고!"

이 경우는 "되"가 맞겠죠?
이제 이해하셨으리라 봅니다. 참 쉽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렘수면과 가위눌림  (0) 2014.04.23
피파 공인구 번호  (0) 2012.10.05
기획자를 위한 툴  (0) 2012.10.05
교통사고 합의 요령  (0) 2012.10.05
usb로 비스타 설치하기  (0) 2012.10.05
Posted by 떡공이
,

기획자를 위한 툴

정보 2012. 10. 5. 19:13

발사믹 목업

Balsamiq Mockups http://www.balsamiq.com/

 

모킹버드

mockingbird https://gomockingbird.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파 공인구 번호  (0) 2012.10.05
되,돼 구분 법  (0) 2012.10.05
교통사고 합의 요령  (0) 2012.10.05
usb로 비스타 설치하기  (0) 2012.10.05
DLL 다운로드  (0) 2012.10.05
Posted by 떡공이
,

교통사고 합의 요령

정보 2012. 10. 5. 19:12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되,돼 구분 법  (0) 2012.10.05
기획자를 위한 툴  (0) 2012.10.05
usb로 비스타 설치하기  (0) 2012.10.05
DLL 다운로드  (0) 2012.10.05
Arttips  (0) 2012.10.05
Posted by 떡공이
,

출처 : http://qwe1qwe.tistory.com/1191

 

 

아주 간단하게 bootsect 파일을 이용해서 설치 가능합니다.
먼저 USB를 PeToUSB 툴로 포멧을 합니다.



그런데 왜 일반 포멧을 안하고 이 툴을 이용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 계실텐데요
사실 저도 잘 모릅니다.
제 생각엔 MBR을 초기화 해야 하기 때문에 이 툴을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아니면 말구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XP의 경우는 /NT52 였는데 비스타는 /NT60 입니다.
bootsect /nt60 h: (저는 USB가 H 드라이브라서 그렇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끝났습니다.


비스타 내용물을 몽땅 USB로 복사하고 USB로 부팅하면 설치 시작입니다.

단 주의사항 딱 1가지 있습니다.
설치 과정중에 파일 복사중과 파일 확장중이 있고 그 다음에 재부팅 한번 하는데
그때 USB를 빼줘야 합니다. 왜냐구요? 안 빼면 또 USB로 부팅이 되니까요 ㅎㅎ
그리고 그 이후 설치 과정에선 더 이상 USB가 필요 없습니다.
따라서 설치 과정 중에 첫 번째 재부팅 과정때 USB를 빼주시면 됩니다.

참 간단한 방법이죠?
USB로 비스타 설치하는 방법중엔 이 방법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되,돼 구분 법  (0) 2012.10.05
기획자를 위한 툴  (0) 2012.10.05
교통사고 합의 요령  (0) 2012.10.05
DLL 다운로드  (0) 2012.10.05
Arttips  (0) 2012.10.05
Posted by 떡공이
,

DLL 다운로드

정보 2012. 10. 5. 19:09

a

b


c


d


e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9

 

출처 www.dll-files.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되,돼 구분 법  (0) 2012.10.05
기획자를 위한 툴  (0) 2012.10.05
교통사고 합의 요령  (0) 2012.10.05
usb로 비스타 설치하기  (0) 2012.10.05
Arttips  (0) 2012.10.05
Posted by 떡공이
,

Arttips

정보 2012. 10. 5. 19:08

정말 편한 유틸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음....이건 정말이지 안써보면 모른다 ㅎㅎ

몇가지 기능을 소개하자면

1.ID & Password 기억

ID & Password를 저장해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로그인 할수있다

이 기능에 대해선 약간 거부감이 있지만(프로그램 제작자가 마음만 먹으면 ID&Password를 가로채 갈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직업이 직업인지라 이런 생각이 드는건 어쩔수 없나 보다 ㅎㅎ)구더기 무서워 장 못담그냐 라는 말도 있듯이 나도 그냥 쓰고있다

2.Copy&Paste

 윈도우가 기본제공하는 클립보드에는 컨트롤+C를 하면 한번에 하나 밖에 저장이 될수없다

따라서 A를 복사했다가 붙히고 B를 복사해서 쓰다가 다시 A를 붙혀넣기 하려면 또 다시 A를 복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Arttips는 Copy했던 A, B를 모두 저장하고 있기때문에 언제든지 다시 붙혀넣을수 있다(몇개까지 되는지 잘 기억은 안나지만 최소10개 이상이다)

3.포스트잇

말그대로 바탕화면에 포스트잇을 붙힐수있다. 컴퓨터를 껏다 켜도 없어지지 않으니 정말 포스트잇을 붙혀넣어 놓은 기분이다.

4.폴더위치 기억

자기가 자주 이용하는 폴더를 설정해서 마우스 세번클릭(더블클릭+좌클릭)만으로 해당디렉터리를 열수있다.

5.자주사용하는 글저장

자주사용하는 문자열(?)이 있으면 저장해서 간단하게 불러와서 쓸수있다

 

이 외에도 정말많은 기능이 있지만 자세한 설명은 http://xpg.in/forum/viewtopic.php?t=1423

다운로드는 http://www2s.biglobe.ne.jp/~sahmaro/ArtTips.html

개인적으로 한글화된건 익숙하지 않지만 한글화도 되어있다 http://blog.daum.net/koreanize/6867679

참고로 한글패치를 하려면 ArtTips 7.30영문 버전만 된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되,돼 구분 법  (0) 2012.10.05
기획자를 위한 툴  (0) 2012.10.05
교통사고 합의 요령  (0) 2012.10.05
usb로 비스타 설치하기  (0) 2012.10.05
DLL 다운로드  (0) 2012.10.05
Posted by 떡공이
,